많은 분들이 들고 있는 연금은 정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국민연금입니다. 국민연금 같은 경우에는 연금공단에서 관리를 하는데 본인 인증만 된다면 간단하게 납부액 조회와 지급액에 대해서 확인해볼 수 있어요.
국민연금이란 무엇일까?
국민연금의 가입대상으로는 국내에서 거주하고 있는 국민으로 18세부터 60세까지 연령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정부에 일정한 국민연금 납부액을 지급하고 있고 나중에 노후에 연금방식으로 지급을 받는 제도라고 합니다.
국민연금의 가입형태는 두가지로 나누어지게되는데요. 사업장과 가입자로 분류가 됩니다. 가입자에서는 사업장 가입자, 지역가입자, 임의가입자, 임의계속가입자로 구분이 되게 됩니다.
보험가입 같은 경우에는 사업장 가입자, 지역가입자, 임의 가입자, 임의계속가입자로 구분이 되어서 관리가 되게 되는데요. 이렇게 관리가 되는 가입자들은 상황에 따라서 국민연금에 가입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국민연금 가입대상자이면서 국민연급을 가입하고 있다고 하면 국민연금 사이트에서 조회를 해볼 수도 있습니다. 회원가입을 해도 좋고 가입하지 않고 본인 인증만 거쳐서 간단히 납부액을 조회해볼 수 있습니다. 해당되는 국민연금 사이트로 이동을 한다면 그동안 내가 납부한 금액도 조회해볼 수 있고 예상되는 수령액 등에 관하여 간단하게 조회해볼 수 있어요.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방법
1. 국민연금사이트로 이동해줍니다.
2. 자주찾는 민원서비스->내연금 알아보기를 눌러줍니다.
3. 내연금 알아보기 메뉴 중 가입/납부 내역 조회를 선택합니다.
4. 조회전에 사용자 통합 로그인에서 자신의 개인정보를 다시 확인해줍니다.
5. 재무설계에서 가입내역 조회를 눌러줍니다.
6. 개인별 총 납부내역과 연금보험료 상세내역 등 여러가지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소득 및 가입기간에 원하는대로 입력해서 예상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내 연금 알아보기 화면으로 이동하여 상단에 예상 연금 모의 계산 메뉴를 눌러주세요. 해당 화면으로 이동하면 노령, 장애 유족연금 예상액을 인증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조회해볼 수 있습니다. 단, 만 60세 이상의 가입대상자는 계산이 불가합니다. 또한, 노령연금 수급이 가능한 최소 가입기간은 10년입니다. 최장 만 60세까지 납부를 한다는 가정하에 계산을 하게 됩니다.
기본정볼르 먼저 입력해줍니다. 생년월일, 국민연금, 최초 최종 가입 상실년도 예상소득상승률 등의 정보를 입력해줍니다. 또한, 소득정보를 입력하는 곳에 소득 시작과 종료 년도를 입력해줍니다. 다음으로 크레딧 대상입력으로 출산 정보를 입력하고 군복무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해당이 된다면 입력 후에 결과보기를 진행해주면 됩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와 예상액 등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조회가 가능해서 정말 편한데요. 개인정보가 확인이 잘 된다고 하면 본인의 보험료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정보도 다양하게 알아볼 수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