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실 새마을금고 명단 어디?

반응형

최근 새마을금고에 대한 비리 사건을 비롯한 위기설이 확산되어서 금융소비자들이 이탈하는 이른바 '뱅크런'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새마을금고 부실 지점 명단 등이 온오프라인으로 거듭 퍼지자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는 양상입니다. 연체율이 10%를 웃도는 개별 새마을금고 30곳에 대한 합동 특별검사가 진행되고 필요할 경우 지점 폐쇄나 통폐합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그렇다면 부실 새마을금고 명단 어디서 알 수 있는지 알려드릴게요.

 

현재 6%대인 연체율도 연말까지 4%이하로 낮추는 걸 목표로 제시하였습니다. '뱅크런'우려에 대해선 중도해지한 예적금을 새마을금고에 재예치하면 비과세 혜택을 유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새마을금고 감독 기관인 행정안전부가 우선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의 새마을금고 연체율 감축을 위한 특별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연체율이 전체 평균보다 높은 100개를 집중관리 대상으로 선정해, 이 중 연체율이 10%를 넘는 30개 금고에 대해서는 특별검사, 70개 금고에 대해서 특별점검을 하기로 했습니다. 검사, 점검 결과에 따라 자산처분과 경비 절감 등 경영 개선, 합병 요구, 임원 직무 정지 등 조치를 내릴 수 있습니다.

금고 파산이나 통폐합의 경우에는 1곳당 1인당 5,000만원까지 예금 보호가 가능하기 때문에 예금자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30곳에 대한 검사는 10일부터 8월 11일까지 5주간, 70곳에 대한 점검은 8월 중 예정했습니다. 개별 금고의 6월 말 기준 연체율, 연체 감축목표 그리고 이행 현황의 주 단위 상황을 점검할 예정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는 아울러 연체율이 6.5%에 육박한 새마을금고에 대해 한국자산관리공사에 5,000억원까지 부실채권을 매각하는 방안 외에도 추가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현재 온라인을 중심으로 하여 명단이 돌고 있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고조시키고 있습니다.

온라인에 공개된 부실 금고는 사실 이미 합병 절차에 들어간 경기도 남양주 동부새마을금고를 포함하여 대구지역 8곳과 경남 부산지역 3곳 등 모두 12곳으로 파악이 된 상태입니다. 명단이 알려지게 되면서 불안감을 느끼게 된 일부 지역에서는 소비자들이 예적금 해지나 이를 문의 하기 위해 금고를 찾으면서 수도권 금고에서는 ATM기기와 창구에 현금이 바닥나는 사태도 일어났다고 합니다. 

 

부실 새마을금고 명단 바로 가서 보실 수 있으니 들어가셔서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만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